-
자료명:
-
2020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0 세계 식량 안보와 영양상태 보고서)
-
발행기관:
-
식량농업기구(FAO),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기금(UNICEF), 세계보건기구(WHO) 공동
-
요약:
-
-
북한은 ‘만성적 위기 국가’로 지정된 22개 국가*에 포함되었으며, 해당 국가 인구의 약 86%는 건강한 식단을 구입**할 능력 부족
아프리카 대륙(14개국) 외 △시리아 △아이티 등이 지정되었고, 동아시아에는 북한이 유일함.
건강한 식단 구입을 위한 비용은 1인당 USD 3.75~3.80 수준으로 한화 약 5,000원 수준
-
‘만성적 위기 국가’는 △만성적인 식량 위기 △지속된 인도적 지원(필요) △국가의 경제 및 식량 불안 현황 등을 고려하여 지정
-
해당 국가들은 △시장 접근성 및 식량 공급 붕괴 △식량 시스템의 불확실성 및 위기 증가 등에 직면해 있는 상황
-
동아시아의 영양 부족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북한의 영양 부족 비율은 ’17년→’18년 급증한 이후 정체된 상태
전체 인구 대비 영양부족 비율 및 인구 연도 북한 영양부족 비율(%) 영양부족 인구(만명) 2017 43.4 1,100 2018 43.4 1,100 2019 47.8 1,220 연도 한국 동아시아 영양부족 비율(%) 영양부족 비율(%) 2017 <2.5 8.5 2018 <2.5 8.4 2019 <2.5 <2.5 전체 인구 대비 영양부족 비율 및 인구 연도 북한 한국 동아시아 영양부족 비율(%) 영양부족 인구(만명) 영양부족 비율(%) 영양부족 비율(%) 2017 43.4 1,100 <2.5 8.5 2018 47.8 1,220 <2.5 8.4 2019 47.6 1,220 <2.5 <2.5 -
북한의 5세 미만 만성영양실조 비율은 변동 없으나, 급성영양실조는 ’18년 대비 1.5% 증가
-
만성영양실조 비율의 경우 ’12년(27.9%) 대비 8.8% 감소하여 상당한 개선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나, 여전히 동아시아 평균(4.5%) 대비 약 15% 낮은 수준
5세 미만 아동의 영양 상태 연도 북한 5세미만 급성영양실조 5세미만 만성영양실조 5세미만 과체중 2018 2.5 19.1 2.3 2019 4.0 19.1 2.3
(단위: %)연도 동아시아 5세미만 과체중 5세미만 만성영양실조 5세미만 과체중 2018 1.7 4.7 6.3 2019 1.7 4.5 6.3 5세 미만 아동의 영양 상태
(단위: %)연도 북한 동아시아 5세미만 급성영양실조 5세미만 만성영양실조 5세미만 과체중 5세미만 과체중 5세미만 만성영양실조 5세미만 과체중 2018 2.5 19.1 2.3 1.7 4.7 6.3 2019 4.0 19.1 2.3 1.7 4.5 6.3 -
가임기 여성의 빈혈 비율은 ’12년(30%)에서 ’16년(32.5%)로 2.5% 증가하여, 동아시아 평균(26.1%) 대비 6.4% 높은 수준
(단위:%)분류 가임기 여성 빈혈 비율 모유수유비율 2012 2016 2012 2019 북한 30.3 32.5 68.9 71.4 한국 18.4 22.7 - - 동아시아 20.8 26.1 28.5 22.0
-






단행본
이달의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