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명: 
-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남북교류협력 : 현황과 전망 
- 
            발행기관: 
- 
            국회입법조사처 
- 
            발간연도: 
- 
            2020.8월 
- 
            요약: 
- 
    - 
            감염병의 특성상 남북한을 하나의 보건공동체로 인식하고 대응할 때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남북 보건의료 협력 필요 
- 
            남북 보건의료 협력은 기후환경의 유사성이나 지리적 인접성 등으로 인해 감염병 발생 시 공동 대응하여야 방역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 
- 
            남북한은 각각의 영역을 바탕으로 물환경을 관리하고 있으나 이원화 되어있는 관리체계로 인해 북한의 풍부한 물환경을 공유하지 못함. 
-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로 물환경을 관리하게 되면 인구 7천 7백만 명 기준으로 1인당 1,811m³*를 확보하게 되며, 물 풍요국의 지위 획득 가능 
- 
            1인당 가용 수자원량을 기준으로 1000m³미만은 물부족국, 1000~1700m³은 물스트레스국, 1700 m³이상이면 물풍요국으로 분류 
- 
            물환경공동체로서의 남북한 협력방안 - 식수·위생개선 관련 남북협력 검토
- 전문가 기술 및 학술교류 협력
- 남북의 하천 수문관측정보 공유
- 물환경분야에 대한 국제적 협력방안 모색
 
- 
            북한의 만성적인 부족현상 중 대표적인 것이 식량 문제로 국제사회의 일시적인 인도적 지원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근본적인 북한 농업생산의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 줌. 
- 
            북한의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장기적 노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는 남측으로부터 북측으로 인도적 차원의 식량 지원이 필요하며, 이런 차원에서 남북협력 가능성이 높음. 
- 
            정책적 고려사항 - 남북관계 사안에 대한 국민적지지 확보
- 북핵 문제와 대북제재에 대한 종합적 고려
- 미국 등 주요국의 대북정책과의 조화
 
 
- 
            






 단행본
 단행본
 이달의 보고서
 이달의 보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