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 두면 쓸모 있는
'북한지하자원넷' 이용법
북한 지하자원의 매장 및 생산량부터 무역 실적, 최근 동향, 그리고 북한 광산 현황까지 한데 모아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있다? 맞습니다! 바로 '북한지하자원넷(I-RENK)'인데요, 우리 협회가 2013년부터 북한의 지하자원 및 남북 간 자원협력에 대한 관심과 이해 제고를 목표로 운영 중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지난달 자원협력부에서 I-RENK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콘텐츠 개선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 이에 따라 8월호 ‘원포인트레슨’에서는 I-RENK 내 정보별 검색 방법과 활용 팁을 5가지 포인트로 정리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호 특급강사 : 자원협력부 이경현
※ 광종별 기준품위와 분포도도 함께 나와 있어요. 이 모든 자료가 엑셀로 다운로드 가능하다는 사실!
*품위 : 광석 중의 유용원소 함유량으로 단위는 퍼센트 또는 톤당 그램, 해당 광물에 대한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됨. 예컨대 품위 50% 철광석이라면, 이 광물의 철(Fe) 원소 함유량이 50%이고 1kg의 철광석에는 500g 정도의 철이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
함경남도의 주요 광산 중 주광종이 몰리브덴인 광산은 몇 개일까요?
[북한 광산물 현황] 페이지에서 찾으시는 광산의 종류나 주·부광종, 위치 혹은 이름을 선택 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광산 정보는 남북 자원협력사업 구상을 위한 협력 대상 광종 및 광산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북한은 어느 나라에 광산물을 가장 많이 수출할까요?
5·24조치 직후 남한의 아연괴 반입액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2) 남북 간 광산물 교역 > 품목별 교역실적에서 2010년 1월~6월로 기간 지정, 아연괴의 HS코드 7901을 입력한 후 조회하시면 5·24조치 직후 아연괴의 반입액도 알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수출입 상위 5위 광산물의 무역실적, 주요 광산물 반출입의 변화를 요약하는 월간 요약 등 다양한 정보가 매월 갱신되고 있습니다.
*HS코드 : 무역 거래되는 모든 상품에 고유 번호를 부여한 품목 분류 코드. 분류 기준으로, 그 상품이 갖는 물리적 특성 및 내재적 특성(원재료 또는 기초물질, 가공 정도, 용도 또는 기능)과 산업 원천이 고려됨. 상품 분류 체계를 통일함으로써 국제 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관세율 적용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계 산출, 통관 조건, 과표 근거 등에 다양하게 활용.
북한의 자원 개발 관련 정책과 기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북한 자원 동향] 페이지에서는 국내외 언론과 김일성대학보, 채굴공학 등 북한 학술지에 나타난 북한 자원 개발 관련 정책 및 기술의 최신 동향을 쉽게 파악하실 수 있도록 핵심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특정 자원 관련 북한의 행보를 분석한 보고서나 발간물을 찾으신다면!
[자료실] 페이지에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손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협회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북한의 자원뿐 아니라 정치, 경제 이슈를 분석, 전망한 자료들을 취합하여 원문 링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요약!
구분 | 바로가기 링크 |
---|---|
북한 지하자원의 매장 및 생산량 |
|
북한 광산 현황 |
|
북한 광산물 무역 통계 |
|
북한 자원 동향 |
|
북한 자원 관련 자료 |